개발인생/Certificate

정처기 실기[이론-정보보안]

forri 2025. 4. 16. 16:21

① SQL Injection (SQL 삽입 공격)

  • 정의: 사용자 입력값에 SQL 문을 삽입해 DB를 조작하는 공격
  • 대응 방법: 입력값 검증, Prepared Statement(=바인딩 변수 사용)
String query = "SELECT * FROM user WHERE id = '" + userId + "'";
//SQL Injection 방지
String query = "SELECT * FROM user WHERE id = ?";
PreparedStatement pstmt = conn.prepareStatement(query);
pstmt.setString(1, userId);

② XSS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 정의: 웹 페이지에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해 사용자 브라우저에서 실행
  • 대응 방법: 입력값 필터링, 출력 시 HTML 이스케이핑 처리

③ CSRF (사이트 간 요청 위조)

  • 정의: 사용자가 로그인된 상태에서 공격자가 의도한 요청을 전송하게 하는 공격
  • 대응 방법: 토큰 검증, Referer 확인

④ 암호화 관련

  • 대칭키 암호화: 같은 키로 암호화/복호화 (AES, DES)
  • 비대칭키 암호화: 공개키로 암호화, 개인키로 복호화 (RSA)
  • 해시 함수: SHA-256, MD5 등 (복호화 불가, 무결성 검증용)

⑤ 인증 기법

  • MAC (Message Authentication Code): 무결성 + 인증
  • 디지털 서명: 송신자가 보낸 메시지임을 보장 (비대칭키 사용)
  • 전자봉투: 대칭키 + 비대칭키 혼합 사용
개념 내용
방화벽(FW) 내부-외부 간 트래픽 제어 (패킷 필터링)
침입탐지시스템(IDS) 공격 탐지 (차단은 X, 감시만)
침입차단시스템(IPS) 공격 실시간 탐지 + 차단
VPN 가상 사설망. 인터넷상에서 사설 통신처럼 사용
도청/스니핑 네트워크 트래픽 중간 가로채기
백도어 시스템에 몰래 접근할 수 있는 숨은 통로
트로이목마 겉보기엔 정상, 속은 악성
워터링홀 대상자가 자주 가는 사이트에 악성코드 삽입

암기 포인트

  • XSS vs CSRF 구분법
    • XSS: 사용자가 피해
    • CSRF: 서버가 피해
  • 방화벽 vs IDS vs IPS
    • Firewall(방화벽): 트래픽 차단 - 외부와 내부 네트워크 간 트래픽을 제어
    • IDS: 트래픽 탐지 - 모니터링만 함
    • IPS: 탐지 + 차단
  • 암호화 유형
    • 기밀성: 암호화
    • 무결성: 해시
    • 인증: MAC, 디지털서명
  • 공격 유형 구분
    • 피싱: 가짜 사이트
    • 스니핑: 도청
    • 스푸핑: 신분 위조
    • 디도스(DDoS): 분산 서비스 거부
항목 스누핑(Sniffing) 스푸핑(Spoofing)
의미 몰래 엿봄 (도청) 속임수, 위장
목적 정보를 훔쳐보기 위해 정보를 속이기 위해
방식 네트워크 트래픽을 캡처 위장된 정보로 상대방을 속임
예시 와이파이에서 비번 도청 은행인 척 속여 피싱 사이트 유도

암기 팁

  • "XCS": XSS, CSRF, SQL Injection → 웹 취약점 3대장
  • "백워트": 백도어, 워터링홀, 트로이목마 → 악성코드 유형
  • "IDS, IPS, FW": 감지, 차단, 필터링 → 순서대로 기능 다름

최종 요약 – 실전에서 나올 수 있는 키워드 묶음

분류 키워드
웹 보안 SQL Injection, XSS, CSRF
네트워크 보안 방화벽, IDS, IPS
암호화 대칭/비대칭, RSA, AES, 해시, 디지털 서명
인증/무결성 MAC, 해시, 전자봉투
공격 유형 피싱, 스니핑, 스푸핑, 디도스, 백도어
 
+ Teardrop Attack

 

  • IP 패킷을 비정상적으로 조각(fragment) 내서 전송해, 대상 시스템이 조립(재조합)하는 과정에서 크래시나 다운되도록 만드는 공격
  • 목적: 주로 시스템의 운영체제를 무력화시켜 서비스를 중단시키는 것
  • 공격 원리
    1. 공격자가 IP 패킷을 조각(fragment) 내서 보냄
    2. 조각들이 겹치거나 이상한 오프셋(offset) 값을 갖도록 만들어서 보냄
    3. 대상 시스템이 이 조각들을 다시 합치려 할 때, 오류가 나거나 메모리 충돌이 발생해서 시스템이 다운됨

 

'개발인생 > Certific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처기 실기[기출1]  (0) 2025.04.18
정처기 실기[이론3]  (0) 2025.04.16
정처기 실기[이론2]  (1) 2025.04.16
정처기 실기[이론1]  (8) 2025.04.08
정처기 실기[프로그래밍언어]  (1) 2025.04.08